맨위로가기

열역학적 평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열역학적 평형은 열적 평형, 역학적 평형, 화학적 평형의 세 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열역학적 평형 상태에서는 엔트로피, 헬름홀츠 자유 에너지, 깁스 자유 에너지 등이 극값을 갖는다. 시스템 간에는 에너지, 부피, 복사 등의 교환 평형 관계가 성립하며, 시스템 내부에서는 균일한 상태를 유지한다. 국소 열역학적 평형(LTE)과 전역 열역학적 평형(GTE) 개념이 존재하며, LTE는 특정 조건에서 성립한다. 열역학적 평형 상태는 작은 변동에 대해 안정적이며, 비평형 열역학은 평형 상태가 아닌 계를 다룬다. 통계역학에서는 입자의 에너지 분포가 맥스웰-볼츠만 분포를 따르는 경우 열역학적 평형 상태로 정의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평형화학 - 헤모글로빈
    헤모글로빈은 척추동물 혈액에서 산소를 운반하는 주요 단백질로, 헴과 글로빈이 결합된 4개의 소단위체로 구성된 사량체 구조를 가지며, 헴의 철 성분이 산소와 결합하여 폐에서 조직으로 산소를, 조직에서 이산화탄소와 양성자를 운반하고, 산소 결합은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유전자 돌연변이는 헤모글로빈병증을 유발하고, 농도와 기능은 질병 진단에 활용되며, 다양한 생물종에서 발견된다.
  • 평형화학 - 해리 (화학)
    해리는 분자, 복합체, 또는 이온이 더 작은 구성 요소로 분리되는 과정을 의미하며, 해리 상수는 화학 평형 상태에서 반응의 정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 열역학 - 볼츠만 상수
    볼츠만 상수 k는 온도와 에너지를 연결하는 상수이며, 기체 상수와 아보가드로 상수의 비로 정의되고, SI 단위계에서 1.380649×10⁻²³ J/K의 값을 가지며, 거시 물리학과 미시 물리학을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열역학 - 열기관
    열기관은 고온 열원에서 열을 받아 일을 하고 나머지를 저온 열원으로 방출하는 장치이며, 증기 동력, 가스 동력, 내연기관 등으로 분류되어 화력 발전소, 자동차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열역학적 평형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정의계 내에서 물질이나 에너지가 순수하게 이동하지 않는 상태
설명계 내부 또는 계와 주변 환경 사이에서 물질 또는 에너지의 순 이동이 없는 상태를 말한다.
거시적 관점에서 시스템의 관찰 가능한 속성이 시간 경과에 따라 변화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거시적 관찰 가능한 속성에는 압력, 온도, 밀도 등이 있다.
열역학적 평형 상태는 계가 완전히 정지해 있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미시적 수준에서 물질과 에너지는 끊임없이 운동하지만 거시적으로 변화가 관찰되지 않을 뿐이다.
조건열역학적 평형 상태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시스템이 다음 세 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열적 평형: 시스템 전체에서 온도가 균일해야 한다.
기계적 평형: 시스템 전체에서 압력이 균일해야 한다.
화학적 평형: 시스템 전체에서 화학적 조성(농도)이 균일해야 한다.
열역학적 평형의 종류
열적 평형계 내부 또는 계와 주변 환경 사이에 온도 차이가 없어 열에너지의 이동이 없는 상태
기계적 평형계 내부 또는 계와 주변 환경 사이에 압력 차이가 없어 물질의 이동이 없는 상태
화학적 평형화학 반응이 정지하고 화학적 조성(농도)이 변하지 않는 상태
중요성
열역학적 모델링열역학적 평형은 열역학 시스템을 모델링하고 분석하는 데 필수적이다.
시스템이 평형 상태에 있을 때, 시스템의 속성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열역학 법칙을 적용하여 에너지 변환 및 물질 이동과 같은 다양한 프로세스를 이해할 수 있다.
이상적인 열역학적 평형은 실제 환경에서 완전히 달성되지는 않지만 많은 응용 분야에서 유용한 근사치이다.
비평형 열역학 시스템에서는 시간에 따른 변화를 고려해야 한다.
열역학 과정열역학적 평형은 이상적인 열역학 과정을 정의하는 데 사용된다.
준정적 과정은 계가 항상 평형 상태에 매우 가까이 유지되는 가상의 과정이다.
실제 과정은 평형 상태에서 멀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비가역성이 발생한다.
열역학적 평형의 개념은 시스템의 행동을 이해하고 예측하기 위한 기초를 제공한다.
같이 보기
관련 개념열역학
열역학적 과정
상태 방정식
열적 평형
상태량
화학 평형
비가역성
준정적 과정

2. 열역학적 평형의 조건

열역학적 평형은 다음 세 가지 조건이 모두 만족될 때 성립한다.[72]


  • 열적 평형: 두 물체를 투열벽을 통해 접촉시켜도 열의 이동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이다. 열역학 제0법칙에 의해, 두 물체의 '''온도'''가 서로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 역학적 평형: 두 물체 사이에 불균형한 힘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이다. 두 물체의 '''압력'''이 서로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 화학적 평형: 두 물체를 접촉시켰을 때, 화학 반응에 의한 구성 성분의 변화나, 확산, 용융, 상변화 등에 의한 물질의 이동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물질 이동은 물리적 변화이지만, 화학적 평형에 포함하여 다룬다.) 이 경우에는 화학 변화 전후 또는 각 독립 성분의 '''화학 포텐셜'''이 서로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비교 대상이 되는 두 물체는 계 내의 서로 다른 부분 사이 또는 계와 외부(계 밖의 물체) 사이 모두 해당된다.

3. 시스템 간의 교환 균형 관계

열역학적 계는 주변 환경과 상호 작용하며, 장거리 힘도 이들을 연결한다. 계와 주변 환경은 서로 접촉하는 두 계로 생각할 수 있으며, 접촉면(경계)은 특정한 투과성을 갖는다. 이러한 투과성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접촉 평형이 정의된다.[3]

접촉 평형은 교환 평형으로도 간주될 수 있다. 접촉 평형 상태에 있는 두 계 사이에는 어떤 양의 전달률에 대한 0의 균형이 있다. 예를 들어, 열에만 투과성이 있는 벽의 경우, 두 계 사이의 내부 에너지의 열 확산 속도는 같고 반대 방향이다.

두 계가 특정 종류의 투과성과 관련하여 접촉 평형 상태에 있을 때, 그들은 그 특정 종류의 투과성에 해당하는 세기 변수의 공통 값을 갖는다. 이러한 세기 변수의 예로는 온도, 압력, 화학 퍼텐셜이 있다.[3]


  • 열적 평형: 두 물체를 투열벽을 통해 접촉시켜도 열의 이동이 발생하지 않을 때, 두 물체는 열적 평형 상태에 있다. 열역학 제0법칙에 의해, 이것은 두 물체의 온도가 서로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 역학적 평형: 두 물체 사이에 불균형한 힘이 작용하지 않을 때, 두 물체는 역학적 평형 상태에 있다. 이것은 두 물체의 압력(또는 그에 상응하는 것)이 서로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 화학적 평형: 두 물체를 접촉시켰을 때, 화학 반응에 의한 구성 성분의 변화나, 확산, 용융, 상변화 등에 의한 물질의 이동이 발생하지 않을 때, 두 물체는 화학적 평형 상태에 있다. 이 경우에는 화학 변화 전후 또는 각 독립 성분의 화학 포텐셜이 서로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두 개의 분리된 계 사이에는 복사 교환이 발생할 수 있다. 두 계가 같은 온도를 가질 때 복사 교환 평형이 성립한다.[4]

4. 시스템 내부 평형의 열역학적 상태

계는 주변 환경으로부터 완전히 고립될 수 있다. 만약 충분히 오랫동안 방해받지 않고 방치되었다면, 고전 열역학은 그 계 내부에서 어떤 변화도 일어나지 않고, 계 내부에서 어떤 흐름도 없다는 상태에 있다고 가정한다. 이것이 내부 열역학 평형 상태이다.[5][6]

이러한 상태는 고전 열역학 또는 평형 열역학에서 주요 관심사인데, 왜냐하면 이것들이 그 분야에서 잘 정의된 계의 유일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다른 계와 접촉 평형 상태에 있는 계는 열역학적 조작에 의해 고립될 수 있으며, 고립 시에는 그 계에서 어떤 변화도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다른 계와 접촉 평형 관계에 있는 계는 그 자체의 내부 열역학 평형 상태에 있다고 간주될 수도 있다.

열역학적 형식주의는 하나의 계가 여러 다른 계와 동시에 접촉할 수 있음을 허용하며, 이러한 계들은 서로 상호 접촉을 할 수도 있고 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접촉은 각각 다른 투과성을 가질 수 있다. 만약 이러한 계들이 모두 세상의 나머지로부터 공동으로 격리되어 있다면, 접촉하고 있는 계들은 서로 각각의 접촉 평형 상태에 도달한다.

여러 계가 서로 사이에 단열벽이 없지만, 세상의 나머지로부터 공동으로 격리되어 있다면, 다중 접촉 평형 상태에 도달하며, 공통적인 온도, 총 내부 에너지 및 총 엔트로피를 갖는다.[9][10][11][12]

5. 국소 및 전체 평형

전체 열역학적 평형 (GTE)은 세기 변수들이 계 전체에서 균일한 상태를 의미한다. 반면, 국소 열역학적 평형 (LTE)은 세기 변수들이 공간과 시간에 따라 변하지만, 변화가 매우 느려서 특정 지점 주변에서는 열역학적 평형을 가정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76][77]

예를 들어, 녹고 있는 얼음 조각이 들어 있는 물 한 컵에는 LTE가 존재한다. 컵 안의 온도는 어느 지점에서든 정의할 수 있지만, 얼음 조각 근처에서는 멀리 떨어진 곳보다 온도가 더 낮다. 각 지점 근처 분자들의 에너지는 맥스웰-볼츠만 분포에 따라 분포되는데, 이는 각 지점의 온도에 따라 달라진다.

LTE는 계의 특정 하위 집합, 일반적으로 질량 입자에만 적용된다. 복사하는 기체에서 광자는 LTE에 관여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자유 전자가 무거운 원자나 분자와 평형을 이루지 않아도 LTE가 성립할 수 있다.

LTE는 국소적 또는 전역적 정상 상태를 요구하지 않는다. 즉, 각 작은 영역의 온도가 일정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각 영역의 변화는 분자 속도의 국소 맥스웰-볼츠만 분포를 유지할 수 있을 만큼 느려야 한다. 전역 비평형 상태는 계와 외부 사이의 교환을 통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자연적인 수송 현상은 계를 LTE에서 GTE로 이끈다. 예를 들어, 열의 확산은 물 한 컵을 GTE, 즉 컵 전체 온도가 균일한 상태로 만든다.[17]

6. 내부 열역학적 평형 상태의 특성

외부 힘이 없을 때, 단일 상으로 구성된 열역학적 계는 내부 열역학적 평형 상태에서 균질하다.[42] 이는 계의 임의의 작은 부피 요소에 있는 물질을 계의 다른, 기하학적으로 합동인 부피 요소의 물질과 바꿔도 계의 열역학적 상태가 변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열역학적 평형 상태에 있는 시스템 내의 온도는 공간적으로나 시간적으로 균일하다. 자체 내부 열역학적 평형 상태에 있는 시스템에는 순 내부 거시적 흐름이 없다. 특히, 이것은 시스템의 모든 국소 부분이 상호 복사 교환 평형 상태에 있음을 의미한다. 즉, 시스템의 온도는 공간적으로 균일하다.[4] 이는 비균일 외부 힘장의 경우를 포함한 모든 경우에 해당한다. 외부에서 부과된 중력장의 경우, 라그랑주 승수법을 사용하는 변분법을 통해 거시적 열역학적 용어로 이를 증명할 수 있다.[44][45][46][47][48][49]

시스템이 자체 내부 열역학적 평형 상태에 있으려면, 자체 내부 열적 평형 상태에 있는 것이 필요하지만 충분하지는 않다. 시스템은 내부 열적 평형에 도달하기 전에 내부 기계적 평형에 도달할 수 있다.[59]

열역학적 평형 상태는 작은 일시적 변동에 대해 안정적이다.

7. 비평형

열역학적 평형 상태에 있지 않은 계는 비평형 상태이며, 자연계에서 발견되는 대부분의 계는 시간에 따라 변하거나 변화가 유발될 수 있고, 다른 계와의 물질 및 에너지의 연속적이고 불연속적인 흐름의 영향을 지속적으로 받기 때문에 열역학적 평형 상태에 있지 않다.[67] 비평형 열역학은 이러한 비평형 상태의 계를 다룬다.[67]

평형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계를 지배하는 법칙은 논쟁의 여지가 있지만, 이러한 계에 대한 지침 원리 중 하나는 최대 엔트로피 생성 원리이다.[68][69] 이 원리는 비평형 계가 엔트로피 생성을 최대화하도록 진화한다고 명시한다.[70][71]

8. 통계역학

통계역학에서 열역학적 평형은 어떤 열역학 계를 구성하는 입자들의 에너지 분포가 맥스웰-볼츠만 분포를 따르는 경우로 정의된다.[2] 이 정의를 통해 계의 온도를 유일하게 결정할 수 있다. 계가 열역학적 평형에 이르는 과정을 열평형화(thermalization)라고 한다. 열평형화의 예로는 맥스웰-볼츠만 분포를 따르지 않는 입자계가 상호 작용을 통해 평형 상태에 도달하는 경우가 있다.

참조

[1] 서적 Introduction to Chemical Engineering Thermodynamics https://books.google[...]
[2] 서적 Physical Chemistry Academic Press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논문 Time and irreversibility in axiomatic thermodynamics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서적 (1937/1968)
[37] 서적 (1969)
[38] 서적 (1985)
[39] 서적 (1994)
[40] 서적 (1961)
[41] 서적 (1949/1967)
[42] 서적 (1897/1927)
[43] 학술지 The Fizz Keeper, a Case Study in Chemical Education, Equilibrium, and Kinetics https://pubs.acs.org[...] 1999-02-01
[44] 서적 (1876/1878)
[45] 서적 (1966)
[46] 서적 (1970)
[47] 서적 (1994)
[48] 학술지 On maximum entropy profiles 2004
[49] 학술지 On the energetics of maximum-entropy temperature profiles 2008
[50] 서적 (1867)
[51] 서적 (1896/1964)
[52] 서적 (1939/1970)
[53] 서적 (1949)
[54] 학술지 A paradox concerning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a gas in a gravitational field 1985
[55] 학술지 Microcanonical single-particle distributions for an ideal gas in a gravitational field 1995
[56] 학술지 On a paradox concerning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an ideal gas in a gravitational field 1996
[57] 서적 (1950/1954)
[58] 서적 (1955/2005)
[59] 서적 (1962)
[60] 서적 (1951)
[61] 서적 Fundamentals of Equilibrium and Steady-State Thermodynamics Elsevier 2000
[62] 서적 (1966)
[63] 서적 (2002)
[64] 서적 (1996)
[65] 서적 (1962)
[66] 서적 (1962)
[67] 서적 Thermodynamics of Complex Systems: Principles and applications. IOP Publishing 2020
[68]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rmomechanics. 1983
[69] 학술지 Reciprocal Relations in Irreversible Processes 1931
[70] 서적 Non-equilibrium Thermodynamics and the Production of Entropy. 2005
[71] 논문 Self-Assembled Wiggling Nano-Structures and the Principle of Maximum Entropy Production
[72] 서적 Heat and Thermodynamics (5'th ed.) McGraw-Hill
[73] 서적 On the Equilibrium of Heterogeneous Substances Longmans, Green and Co.
[74] 서적 ムーア 物理化学 東京化学同人
[75] 서적 熱力学 岩波書店
[76] 웹사이트 한국물리학회 물리학용어집 https://www.kps.or.k[...]
[77] 웹사이트 대한화학회 화학술어집 https://new.kcsnet.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